💻Development
-
[DFS/BFS] 개념정리1 - 탐색, 스택, 큐, 재귀함수Algorithm/개념정리 2021. 7. 1. 11:37
1. 탐색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 프로그래밍에서는 그래프, 트리 등의 자료구조 안에서 탐색을 하는 문제를 자주 다룸 대표적 탐색 알고리즘 : BFS, DFS → 2가지 알고리즘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해야 탐색 문제 유형을 풀 수 있음 → 2가지 알고리즘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기본 자료구조인 스택과 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2. 자료구조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 스택과 큐는 자료구조의 기초 개념으로 2가지 핵심적인 함수로 구성됨 + 언더플로우&오버플로우 삽입(push) : 데이터 삽입함 삭제(pop) : 데이터 삭제 2-1. 스택 in java Stack 클래스 List 컬랙션 클래스의 Vector 클래스를 상속받아, 스택 메모리 구조의 클래스를 제공함 스택 ..
-
[구현] 문제이름 : 게임 개발Algorithm/유형별 문제 풀기 2021. 6. 30. 12:20
문제 설명 게임 캐릭터가 맵 안에서 움직이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. 캐릭터가 있는 장소는 1 x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N x 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, 각각의 칸은 육지 또는 바다이다. 캐릭터는 동성남북 중 한 곳을 바라본다. 캐릭터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, 바다로 되어 있는 공간에는 갈 수 없다. 캐릭터의 움직임을 설정하기 위해 정해 놓은 메뉴얼은 다음과 같다. 1.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 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. 2.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,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왼쪽으로 한 칸 전진한다. 왼쪽 방향에 가보지 않은 칸이 없다면, 왼쪽 방향으로 회전만 수행하고 1단계로 돌아간다. 3 만약 네 방향 모두 이미 가본 칸..
-
2장 의미있는 이름DevBook/CleanCode 2021. 6. 29. 15:44
1. 의도를 분명히 밝혀라 변수나 함수, 클래스 이름은 변수(혹은 함수나 클래스)의 존재 이유는? 수행 기능은? 사용 방법은? 이라는 물음에 모두 답해야 한다. [예시] 1) 의도가 들어나지 않는 코드 public List getThem(){ List list1 = new ArrayList(); for(int[] x : thisList) if(x[0] == 4) list1.add(x); return list1; } 위의 코드의 문제점 : 코드 맥락이 코드 자체에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음 2) 개선된 코드 public List getFlaggedCells(){ List flaggedCells = new ArrayList(); for(int[] cell : gameBoard) if(cell[STATUS_VA..
-
[구현] 문제 이름 : 왕실의 나이트Algorithm/유형별 문제 풀기 2021. 6. 29. 12:10
문제 설명 8 x 8 좌표 평면이 있고, 나이트는 이동 할 때 L자 형태로만 이동이 가능하다. 나이트는 특정한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다. 1. 수평을 2칸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1칸 이동하기 2. 수직으로 2칸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1칸 이동하기 이처럼 8 x 8 좌표 평면 상에서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작성하기 (행 위치 표현은 1~8, 열 위치 표현은 a~h) 1. 사용 알고리즘 구현 - 모든 경우의 수 탐색 2. 문제 해결 아이디어 나이트가 좌표 평면에서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 행과 열 각각의 이동 거리를 저장해둔다. 주어진 나이트의 위치를 바탕으로 모든 이동 가능 경우에 대해 좌표 값을 ..